오라클의 물리적, 논리적 구조
by hiSon논리적 구조
논리적 구조로는 데이터베이스 안에 여러개의 Tablespace가 존재하며 그 Tablespace안에 여러 개의 segment가 존재한다. 또 그 segment 안에 여러개의 extent들이 존재하고 extent 안에 여러개의 block들이 존재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Database : 데이터의 집합이란 뜻으로, 여러 개의 Tablespace들이 모여서 구성된다. 오라클에서는 유저가 곧 스키마이며, 데이터베이스이다.
Tablespace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논리적 구조들을 칭한다.
Segment : 데이터베이스 내에 생성되는 모든 객체(Object)를 뜻한다. 여기서 객체는 테이블,트리거,함수,인덱스,뷰 등이 있다.
Extent : 하나의 테이블을 생성하면 하나의 Extent라는 공간이 할당되며 이 공간이 모두 사용되면 다시 Extent를 새로 할당 받아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Block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작은 구조를 뜻한다. 하나의 Extent 안에 여러개의 block들이 존재하는 이유는 데이터의 저장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물리적 구조
물리적 구조는 실체화를 뜻하며, 데이터베이스가 파일 형태로 존재한다.
'📑DB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너조인(inner join)과 아우터조인(outer join) (0) | 2023.05.01 |
---|---|
SQL(DDL,DML,DCL,TCL)과 HWM (0) | 2023.04.26 |
블로그의 정보
개발 보석함
hiSon